• 최종편집 2025-07-13(일)

예술/창작
Home >  예술/창작  >  부천의 문학향기

실시간뉴스

실시간 부천의 문학향기 기사

  • 박희주 작가 북콘서트
    7일 오후 3시 수주문학상 운영위원장인 박희주 전 부천문인협회장의 북콘서트가 부천콘텐츠센터 내의 카페 어울에서 열렸다. 환담하는 박희주작가(왼쪽)과 이건태 국회읜원, 최의열 부천시의원   한국민족문제연구소의 의뢰로 집필된 '대한 일본인 소다 가이치'(평화누리 간)는 "대한제국 및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일본인 개신교 선교사, 교사, 사회복지활동가로 소다 가이치 부부는 그간의 양화진 선교사 묘역에 잠들어 있는 유일한 일본인"으로 박희주 작가는 집필을 위하여 그의 발자취를 따라 일본의 여러 지역을 탐방하며 역사적 고증을 위한 취재로 사실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의 북 콘서트에는 이건태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부천병)과 최의열 부천시 도시교통위원장이 일찌감치 방문하여 축하를 나누었으며 한병환 부천문화재단 대표이사, 최숙미 부천문인협회장, '복사골시낭송예술협회'의 이현주 님을 비롯하여 많은 부천문인협회, 부천소설가협회 회원들이 함께 참석하였다.   특히 이날 박희주 작가의 북콘서트는 '복사골시낭송예술협회'와 회원들이 주도적으로 주최하며 다양한 행사 진행으로 크게 눈길을 끌었다.   현존하는 부천시 작가들 중 가장 많은 작품을 집필한 것으로 인정 받는 박희주 작가는 시집으로 『나무는 바람에 미쳐버린다』(2002)와 『네페르타리』(2004)가 있고, 소설집으로는 『내 마음속의 느티나무』(2013) 『이 시대의 봉이』(2013) 『싹수가 노랗다는 말은 수정되어야 한다』(2018) 『절벽과 절벽 사이를 흐르는 강』(2021)과 장편소설 『사랑의 파르티잔』(2008) 『안낭아치』(2016) 『나무가 바람에 미쳐버리듯이』(2020) 등이 있다.    2021년 <한국소설문학상>을 비롯하여 2022년에는 제8회 <박종화문학상>을 수상하였고 2023년 부천시승격 50주년 기념 제1회 <부천시문화예술대상>을 수상한바 있다.   
    • 예술/창작
    • 부천의 문학향기
    2025-06-08
  • 최숙미 수필집 3집 "살아내 주겠니" 발간
    "우리 한번 안아주자, 꽃처럼 안아주자. 사느라 애 썼다고"  수필작가 최숙미 (사)한국문인협회 부천지부장의 세번째 수필집 '살아내 주겠니'(꿈의퍼즐 刊. 216페이지)가 출판되었다.   "오늘은 그대가, 오늘은 내가 더 미인이라고 우기기를 즐겼던 우리의 인생관처럼 모나지 않고 무던한 수필집" 이기를 바라는 작가는 "수필집에 거는 기대보다 한 편에라도 휴머니즘적 공감대가 있다면 만족하겠다" 한다. 1부 "은하별로 가는 다리에서 화석이 된 듯한 동행자로 늘 그곳에 있는 조형물로 닮으며 살아간다" 2부 "살아 있으라! 피투성이라도 살아 있으라!" 3부 "꿈에라도 오시면 어머니의 문학에 대한 열정을 존경한다고 고백하고 싶다." 4부"감정의 거리두기는 한 박자 쉬어가자는 뜻이다, 막말을 삼가자는 뜻이기도 하다." 와 "해설-최숙미론"으로 편집되었다. "삶이 녹록치 않으니 살다 보면 죽어야만 고통이 끝날 것 같은 때가 있다. 암담하고 참담하고 무기력해지는 순간이다. 나는 문 닫힌 교회 계단에서 펑펑 울었던 적이 있다. 마지막 살 희망이 있을까 해서 찾아간 곳이었다. 살 소망이 있을 거라고 막연하게 알고 있던 교회마저 나를 저버린다는 생각이 미치자..(중략) 죽어버리자, 죽는게 길이 되니 마음이 편해졌다. 이러면 될 것을, (중략)웃기고 슬픈 생각이지만 만일 살아서 교회에 간다면 문 열어놓은 교회에 가리라고 다짐했다"(2부 "살아내 주겠니! 48p). 작가는 위기속의 치열한 삶의 여정에서 겪는 자신의 삶을 더하지도 빼지도 않은채 솔직하게 토로하는 진솔함을 서술해 낸다. 그 곳에는 악 쓰는 이악스러움도 절망의 아우성도 없이 그저 그렇게 지나갔던 각박한 생명의 끈이 있었음을 토로해 낸다. "예기치 않은 환난은 국지성 호우만큼 속절없어. 국지성 환난에 대처할 방법도 요원하기는 마찬가지야. 기습적인게 어쩜 그리도 닮았는지.(중략) 로또 같은 국지성이면 오죽이나 좋으랴마는 대부분 생채기 나는 날벼락이야(1부 국지성호우. 25p) 저자는 사물을 보듯 삶을 묘하게 객관화 하여 서술하는 필체를 선 보이며 독자로 하여금 자신의 삶으로 이입하게 한다, 그 이입의 끝에는 미소가 떠오르는 해학이 있고 다시 삶에 대한 희망도 함께 자리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사느라 애썻어, 며느리로 아내로 엄마로 사명자로 또 딸로, 이제 우리 나로 살아볼까. 가을무처럼 아삭하게, 오늘 같은 날 사랑해서 아픈 날, 서로를 보렴, 희끗한 귀밑 머리가 눈물겹지 않니."(4부 회갑 축하하자. 147p) 저자는 다양한 형용적 수사로 글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한다, 마치 오케스트라의 모든 악기가 나는 특유의 소리를 한 곳에서 어울리게 하듯 그 곳에서는 화려한 수사와 가슴 저리는 애잔함이 함께 묻어내어 내는 언어의 화음이 이루어 진다. 저자는 글에서 삶의 아름다움을 칭찬하며 희망과 사랑을 노래한다, 모두가 다 자신의 삶을 사랑할 것을 차분히 풀어낸다, 글은 강요하지 않고 독자가 충분히 스스로의 삶을 음미할 수 있도록 간략하지만 춤추는 형용사가 페이지를 가득 메운 듯 풍요로운 문체로 독자를 평안함으로 이끈다. 작가는 열심히 살아내 준 모두에게 이야기 한다. "우리 한번 안아주자, 꽃처럼 안아주자. 사느라 애 썼다고"   
    • 예술/창작
    • 부천의 문학향기
    2025-05-07
  • 박희주 작가 장편소설 『대한(大韓) 일본인(日本人) 소다 가이치』 출간
    소설가 박희주 작가가 소다 가이치(曾田 嘉伊智)의 생애를 다룬 장편소설 『대한(大韓) 일본인(日本人) 소다 가이치』(평화누리 간)을 출간했다.   ‘조선인보다 더 조선을 사랑했던 일본인’이라는 딱지가 따라다니는 소다 가이치는 일본 야마구치현 출신으로 대한제국 및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일본인 선교사로서 1905년 조선에 정착하여 전도사로 활동했고, 영어 교사였던 우에노 다키(上野タキ)와 결혼 후 1921년부터 가마쿠라 보육원을 운영하면서 평생을 조선인 고아들을 돌보는 데 전념하며 조선을 도운 대표적인 양심적인 일본인 중 한 명이다.   그는 어린 시절 한학을 공부하고 초등학교 교사로 일하다가 21세에 고향을 떠나 나가사키에서 광부로 일하는 등 긴 방랑 생활을 하였다.    25세에는 홍콩에서 노르웨이 상선의 선원으로 일하면서 영어를 배우고, 1896년 청일전쟁 이후 일본 제국의 식민지가 된 대만으로 가 독일계 공장에서 사무원 겸 통역관으로 근무하지만 정착하지 못하고 산악지대를 방랑하는 등 죽을 고비를 여러 번 넘겼다.    그러다 1899년에 32세였던 그는 한 경험을 통해 인생이 180도로 바뀌었다.    당시 대만에서의 불안정한 생활로 과한 음주를 하는 경우가 잦았는데, 어느 날 만취한 상태로 길거리에서 쓰러져 죽어가던 도중 한 조선인이 소다를 업고 여관에 데려가 식비와 숙박비, 약값까지 마련해 주고 떠난 것이다.    이름 모를 조선인에게 도움을 받은 그는 자신을 구해준 조선인의 조국을 위해 은혜를 갚겠다면서 방탕한 생활을 청산하고 1905년 을사늑약으로 국권을 침탈당하고 개신교 대부흥운동이 전개되고 있었던 대한제국에 들어와 황성기독교청년회에서 일본어 교사로 활동을 하게 되었다.    그 후 독립운동가 월남 이상재 선생의 전도로 기독교인이 되었다.   저자는 이 상황을 이렇게 묘사했다. “이제 나는 일본을 버린다. 타이완과 오키나와를 먹어 치우고는 이제 조선을 강탈하려 하며 중국을 송두리째 뒤흔들어 놓은 무력 우선주의 일본을 버린다. 어제부로 소다 가이치란 일본인은 죽었다.    새로 태어난 소다 가이치로서 새로운 삶, 인정으로 무장하고 감동을 일으키는 인생을 살아야겠다. 나를 살린 조선인, 한 사람을 알면 백 사람을 알고 조선인 전체를 짐작할 수 있다.    인정이 흐르는 민족, 사방에서 한입에 집어삼키려 날카로운 이빨을 감추고 달려드는 만만한 먹잇감이 된 그의 위태로운 조국, 조선을 위해 살아갈 것이다. 그러려면 답은 정해졌다. 조선으로 가야지.” - 본문에서-   소다 가이치 부부는 양화진 선교사 묘역에 잠들어 있는 유일한 일본인이다. 한국 정부는 그의 업적을 기려 일본인으로서는 처음인 문화훈장을 추서했다. 한편 이 책을 출판한 평화누리협동조합은 『대한 일본인 소다 가이치』 외에도 강태욱 이사장의 『이것 저것 내 맘대로 쓴 글』을 이미 펴냈고,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 기획 소설로서 『타니안섬의 스티브 박』, 시베리아 벌목공으로 일하다 탈북한 인사의 역정,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조국 강토를 떠날 수밖에 없었던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다룬 작품들을 계속해서 출간할 것으로 알려졌다.   저자  박희주 작가는 전북 임실 출신으로 전북대학교를 졸업하였으며, 부천문인협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현재 한국소설가협회 이사, 한국문인협회 문협70년사 편찬위원장으로 재임 중이다. 시작(詩作) 활동을 시작으로 《월간문학》 신인작품상에 중편 「내 마음속의 느티나무」가 당선되어 소설계에 입문했다.    저서: 시집 - 『나무는 바람에 미쳐버린다』(2002)와 『네페르타리』(2004)가 있고, 소설집 - 『내 마음속의 느티나무』(2013) 『이 시대의 봉이』(2013) 『싹수가 노랗다는 말은 수정되어야 한다』(2018) 『절벽과 절벽 사이를 흐르는 강』(2021)과 장편소설 『사랑의 파르티잔』(2008) 『안낭아치』(2016) 『나무가 바람에 미쳐버리듯이』(2020)가 있다.    <한국소설문학상>(2021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우수출판컨텐츠 선정(2021년),  제8회 <박종화문학상>(2022년),  부천시승격 50주년 기념 제1회 <부천시문화예술대상>을 수상했다. 
    • 예술/창작
    • 부천의 문학향기
    2025-05-06
비밀번호 :
작업수행시간 :: 0.322322845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