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7(수)

삶이란/김석심

유네스코문학창의도시 기념기획/ 홍영수 시인의 부천의 문학향기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3.02.19 20:44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2017년 10월 부천시는 아시아에서 두번째로 유네스코문학창의도시로 지정되었습니다. 유네스코문학창의도시 지정 1주년을 맞은 2018년 10월부터 <부천 시티저널>에서는 홍영수 시인의 "부천문인들 문학의 향기"를 연재하고 있습니다.


삶이란/김석심 

 

앞만 보며 달려왔던 인생이었지

건강과 얽힌 실타래 푸는 동안

서산에 노을은 짙어만 갔네

 

어느덧 남편은 한줄기 구름과

바람으로 왔다가 떠나가고

 

아이들은 자라 제 갈 길 찾았으니

허전한 마음에 뒤돌아보니

출발점은 저 멀리서 몸을 숨기고

종점이 가까워질 때

 

유일한 내 친구는 문학의 길이라네!

알량하게 쓰는 글이지만

글 한 편이 나의 애인이고

자식이고 친구일세!

 

유통기한이 없는 글을 쓰고

언제까지 정신력 잃지 않은

삶으로 뜨락에서 피어나는

수채화 같았으면.

 

2023.2월사본 -삶이란-글 쓰는 노인.jpg


·수필집 인생의 숲을 통해서, 해드림출판사, 2021

---------------------------------------------------------- 

최근엔 노년의 삶에 대한 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다. ‘에이지즘(ageism)’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즉 노인들을 경원시하고 고립시키면서 차별화하는 의미이다. 누구나 나이를 먹는다. 그러나 건강한 노년의 삶을 살아가는 것 못지않게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면서 살아가는 것도 중요하다.

 

<삶이란> 이라는 시제에서 이미 삶의 연륜이 두터움을 느낄 수 있다. 1연에서의 앞만 보며 달려왔던 인생이었지//건강과 얽힌 실타래를 푸는 동안에서 그 어디에도 한눈팔지 않고 오직 가정과 자식들을 위해 앞만 보고 달려왔는데 어느새 서산에 노을은 짙어만 갔네라고 한다. 이제야 뒤돌아보니 서녘에 지는 붉은 노을이 보인 것이다.

 

그 사이 평생지기인 남편은 바람으로 왔다가 떠나가고에서 보듯 남편은 이미 이승을 떠나 훗승에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만나면 헤어지고, 떠나면 반드시 만난다고 했다. ‘회자정리 거자필반(會者定離 去者必返)’이다 화자는 삶의 뒤안길에서 인생의 허무함을 느끼고 있다.

 

3연의 아이들은 자라 제 갈 길을 찾았으니” , 자식들은 장성해서 이미 부모 곁을 떠나고 없다, 뒤돌아보니 마음이 허전할 수밖에 없다. 누구나 노년의 삶에서 느끼는 것이지만, 고고의 울음을 터뜨렸던 인생의 시작점은 점점 멀어져가고 끝점이 서서히 다가옴을 알 수 있다(“출발점은 저 멀리서 몸을 숨기고//종점은 가까워질 때”) 예로부터 품 안의 자식이라고 했다. 그렇다고 자식과 떨어진 노년의 삶이 결코, 외로워서는 안 되고 또한, 외롭지도 않다.

 

시인 존던은 누구도 외딴섬일 수는 없다 No one is an island”라고 했다. 노년의 삶은 세월로 층층이 쌓아 올린 하나의 높은 탑이다. 그 탑에 켜켜이 쌓인 인생의 풍부한 경험과 깊고 높은 역량으로 외딴섬도 아니고 무인도가 아닌 살아 움직이는 섬이 되어야 한다. 그렇게 살아 숨 쉬는 섬이 되기 위해 화자는 유일한 내 친구는 문학의 길이라네!” 하면서 느낌표까지 달아놓았다. 이렇듯 문학을 의인화해서 서녘을 물들이는 노을의 치맛자락을 잡아당겨애인’,‘자식’, ‘친구로 삼아 白髮의 길을 걸어간다니 얼마나 멋진 황혼 녘 삶의 또 다른 새로운 시작이 아닌가.

 

그러면서 유통기한이 없는 글을 쓰고싶다고 한다. 당연히 문학은 무통기한이다. “언제까지 정신력을 잃지 않은에서 보듯 나이 듦에서 오는 건강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걱정을 하면서 그래도 삶의 뜨락에서 피어나는//수채와 같았으면하면서 <삶이란>의 시를 아퀴짓고 있다. 분명 화자가 희망하는 삶의 뜨락에는 수채화가 유통기한 없이 꾸준히 피어날 것이다. 이 시에서 화자는 나이 듦에서 오는 여러 상황을 이미지화해서 묘사하고 있다.

 

우리는 노인들을 경제적 시선의 잣대로 한계치를 바라보는 외눈박이 시선은 던져버려야 한다. 그들 삶의 세월은 수없이 많은 실패와 성공의 갈림길에 섰고, 겪었던 노하우가 있다. 또한, 체험적 요소에서 우러나는 축적된 층층 탑 같은 살아있는 풍부한 연륜 등, 그것은 소중한 자산이다. 쓸데없이 낭비하는 우를 범해서는 아니 된다.

 

그리고 노인 자신도 변해야 한다. 그렇기 위해서는 고정불변의 사고방식과 변치 않는 의식을 버려야 한다. 장자에서 보듯 스스로 자신의 상을 치뤄야 한다(吾喪我) 이분법적인 의식을 버리려면 스스로 의식의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 의식의 변화 없는 배타적 고정관념은 절대로 변화 없는 그저 평범한 노인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다. 옹고집을 버려야 한다.

 

아래의 시 한 수로 글을 맺고자 한다.

 

生也一片 浮雲起(생야일편 부운기)

死也一片 浮雲滅(사야일편 부운멸)

浮雲自體 本無實(부운자체 본무실)

生死去來 亦如然(생사거래 역여연)

 

삶이란 한 조각 구름이 일어남이요

죽음이란 한 조각 구름이 사라짐이다.

뜬구름은 본래 실체가 없는 무상함이니

삶과 죽음의 오고 감이 역시 이와 같도다.

 

홍영수 시인, 문학평론가

jisrak@hanmail.net 

 

태그

전체댓글 0

  • 5833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삶이란/김석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
작업수행시간 :: 0.691896915436